법인 기장료 얼마가 적당한가? 적정한 금액을 알려드립니다.

법인 기장료 과연 얼마나 적당한가요? 10만원? 20만원? 또는 무료? 하는 것도 없는데 수수료는 아깝게 느껴지지 않으신가요? 이럴 때는 비교를 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근데 세무사마다 가격이 다 달라서 어떻게 비교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기장료에 대해서 모든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런 어려움이 있거나 도움될 친구나 가족을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공유해주세요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확실히 도움될겁니다

기장료란? 

한자로 돼 있어서 정확한 뜻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풀어서 설명하면 장부를 작성하는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가 보통 엑셀 또는 수기 또는 또 다른 방법으로 사실 나만의 장부를 작성합니다 순이익이 얼마나 나왔는지 무엇을 얼마나 썼는지 계산하지도 못한 채 사업을 하는 분은 없을 겁니다. 근데 왜 근데 왜 기장료로 또 다른 비용을 써야 할까요?

내가 만드는 안 되는 장부는 나만 알아볼 수 있는 장부입니다. 간단하게 근거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일 예로 똑같은 상황에서 누구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누구는 비용이 아닌 걸로 인식하게 됩니다. 모두가 다르게 처리하니 세금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세법에서 정하는 방식으로, 정하는 기준으로 장부를 작성해야 하는 겁니다. 다 다르게 생각하니까요 다만 이런 세법을 현실적으로 일반 법인 작성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수수료를 지불하고 대행을 맡기는 겁니다

이런 법적인 기준을 가지고 만든 장부를 복식 장부라고 표현합니다. 내가 만든 가계부를 가지고 세금 계산하는걸 보고 간편장부라고 얘기합니다. 근데 매출 100만원과 매출 1억인 사람이 똑같은 기준을 적용한다면 매출 100만원인 사람이 손해이지 않겠어요? 하지만 법인은 모두가 복식 장부를 사용합니다. 이유는 대외적으로 재무제표를 보고 하기 때문입니다.

혹시 어렵거나 궁금하신게 있으신분은 익명으로 문의주시면됩니다.
질문/요청게시판을 재능기부로 운영중입니다.

세무수수료 평균

 평균적인 세무수수료라고 딱 나와 있는 건 없습니다. 왜냐면 세무사마다 다르니까요! 다만 시장에서 비교해보면 법인 수수료는 40만원 정도 합니다. 생각보다 높게 생각보다 높게 느껴지시죠? 왜냐하면 사업 초기 이거나 매출이 적거나 없는 경우 10만원 초반대의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매출이 40억 50억 백억 이렇게 큰 기업들의 수수료는 80만원 90만원 백만원 이렇게 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평균 자체는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그래서 내 억채 정도의 평균 수수료를 알고 싶을 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몇군데 견적을 넣어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그렇다고 너무 싼 곳만 가시는 건 별로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 서비스는 싼 게 비지떡입니다. 싸다면 싼 이유가 있다는 것이지요 서비스가 부실하다던가 추가 비용이 있다던가 그렇습니다 회계법인보다는 세무법인이 수수료가 좀 저렴합니다. 회계법인 세무법인의 차이 2가지를 보시면 왜 그런지 알수있습니다.

기장료 보수표 보는 방법

매출액개인법인
1억원 미만 110,000 165,000
1억~3억 165,000 220,000
3억~5억 220,000 275,000
5억~10억 275,000 330,000

일반적으로 이렇게 쓰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무보 수표는 기본적으로 매출액에 대부분 연동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매출액이 크지만 받아야 할 서비스가 작은 경우 할인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매출액은 작지만 해야 할 받아야 할 서비스가 많은 경우는 기장료가 할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세무 보수표는 내가 기장을 맡길 경우 이 정도 금액은 수수료로 발생하겠다고 인지하고 참고하시는 정도로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법인 기장료 인상 이유 

매출액이 상승하면 보통 수수료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유는 장부를 작성하면서 매출의 규모가 커질수록 해야 할 일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분량 자체가 늘어나는 겁니다. 똑같은 서비스를 받는데 비용 증가한다면 이용 안 하고 싶으실 겁니다. 반대로 수수료가 인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추가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이용하시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으로 일자리안정자금 등 각종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수수료가 조금은 더 비싸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정료와의 관계

조정료으로도 고민이 신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그러나 조정료와 수수료는 세무사나 회계사가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입니다. 따라서 수수료가 너무 저렴한 세무사는 수익의 내고자 보정료가 비싼 상황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수수료가 비싼 경우 조종로를 할인해주거나 안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1년에 나가야 하는 수수료는 적어도 150 이상은 생각하셔야 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