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 줄이는 5가지 방법 

부가가치세 줄이는 방법은 우선 서류부터 잘 모으는 겁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특성상 적격증빙 아니고선 할 수가 있는 방안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번에는 부가가치세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부가가치세가 무엇인가? 

물건이 판매되거나 서비스가 제공되면 부가가치가 발생하게 됩니다. 즉 예시로 물건 판매로 놓고 보면 100원에 사 온 물건을 120원에 판매합니다. 그럼 물건은 같지만 20만원의 물건의 가치가 상승했잖아요? 이 상승한 가치에 대해서 발생한 세금을 부가가치세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일률적으로 10%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국의 나라마다 부가가치율은 조금씩 다릅니다. 

부가가치세 줄이는 방법 

적격증빙 관리는 수십번 말해도 부족하지 않다 

우리가 사업을 하면서 많은 물건을 사기도 하고 서비스를 받기도 했을 겁니다. 그럼 대가를 지급하겠지요? 그런데 대가를 지급하면서 적격증빙은 꼭 받으셔야 합니다. 적격증빙이라는 건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영수증 현금영수증입니다. 이런 적격증빙을 제대로 받지 못하시면 부가세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가끔 세금계산서 발급하지 않는 조건으로 10% 깎아 주겠다는 매장들 보실 겁니다. 이 매장에서 말하는 10%는 부가세입니다. 사실 10%를 주더라도 우리는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시점의 차이일 뿐이죠 지금 할인받냐 몇 달 뒤에 환급받느냐 하지만 더욱 중요한 건 따로 있습니다. 적격증빙이 없음으로써 종합소득세 경비 처리하기 어려운 상황이 됩니다. 부가세의 문제는 소득세로 연결됩니다. 왜냐 부가세의 범위보다 소득세의 범위가 넓기 때문입니다. 

현금보다는 신용카드나 현금영수증 발급해라 

부가가치세를 신고할 때 현금매출에 대해선 혜택은 하나도 없습니다. 하지만 신용카드나 현금영수증 발급을 하면 혜택이 있습니다. 간이과세자든 일반과세자든 매출액의 1.3%만큼 세액공제가 됩니다. 즉 현금으로 하면 세액공제가 안 되는데 현금영수증 하면 세액공제 되니 안 할 이유는 없겠지요? 특히 연간 한도가 1000만원이긴 합니다 하지만 1000만원 채우려면 생각보다 많은 금액을 매출로 발생시켜야 합니다. 

만약 대금을 제대로 못 받았다면 대손세액공제 가능하다 

세금계산서를 발급했다면 우리는 10%인 부가세를 납부했을 겁니다. 그럼 매입자가 매출자에게 거래대금과 10%인 부가를 줘야 하잖아요? 그런데 대금을 못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이런 경우는 많습니다. 그래서 간혹 대금을 못 받았다고 발행 안 하시는 분 있는데 우선 발행은 하셔야 합니다. 발행을 하시고 만약 대금을 못 받으면 대손세액공제를 받으시면 됩니다. 그럼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10년까지 공제받을 수 있으니 얼마나 긴가요? 

물론 현실적으로 대손세액공제 받으면 조금 까다로운 것도 사실입니다. 간단하게 적어도 돈 받으려고 하는 액션은 취해야 합니다. 등기를 보냈다던가 내용증명이라던가 채권추심업체를 이용했다던가 이런 내용도 없이 채권을 포기해버리면 대손세액공제는 활용하시기 어렵습니다.

면세 매입(계산서)을 많이 하자 

우리가 보통의 물건을 사 올 때 부가가치세 10%가 붙는 건 다 알고 계십니다. 그런데 면세품 예를 들면 농수산물 같은 경우 부가세는 붙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면세로 사 온 물품을 과세로 팔면 부가세 10%를 다 내야 하는데… 금액이 엄청난 금액이 됩니다. 그래서 면세로 사 온 물품의 일부분을 부가가치세에서 공제를 해주게 됩니다.

의제매입세액이라고 하는데요 간이과세자의 경우 예전에는 됬지만 지금은 안됩니다. 왜냐하면 간이과세자의경 후 납부세액을 계산할 때 부가가치율에 이미 농수산물 등의 매입액이 반영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의제매입세액 공제를 받으면 이중 공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 최대 100만원 세액공제 

예전에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면 세액공제 해주는 게 있었습니다. 어느 정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이 정착된 것 같아서 없어진 공제인데요 이번에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금액을 낮추면서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대상이 아니었던 공급가액 3억원 미만 개인사업자가 대상이며 한도는 연 100만원 최대한도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