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포인트 세금 납부한다는 생각 해보셨나요? 사실 신용카드로 납부한다는 건 많이들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용카드 포인트 세금 납부는 많은 분이 생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포인트는 모아도 쓰기가 참 애매했는데 이렇게 사용하면 좋아서 공유하고 자합니다
이런 어려움이 있거나 도움 될 친구나 가족을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공유해주세요.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확실히 도움 될 겁니다
신용카드 포인트 다 가능한가?
BC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국민카드 하나카드 농협 카드 씨티카드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수협이 가능합니다. 사실 사용하고 계신 카드 대부분 가능합니다. 즉 각종 쇼핑을 통해서 모았던 신용카드 포인트로 세금 납부가 가능합니다. 물론 세금을 납부하면서 쌓았던 세금 포인트로도 납부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사실 세금 포인트는 모으기가 어려워서 기존에 사용하셨던 신용카드 포인트로 세금 납부하신다고 생각하는 게 편하십니다.
신용카드 포인트 납부하면 수수료 있다
신용카드로 납부하게 되면 신용카드 회사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왜? 라는 의문이 드실 텐데요 우리가 보통 식당에서 카드 결제를 하면 우리는 수수료가 없지만 매장은 수수료가 있습니다. 결국 국세청도 신용카드 재가 받게 되면 수수료가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일반적인 매장과 다르게 이 수수료는 납세자 즉 우리가 납부합니다. 이유는 형평성 때문입니다. 누구와? 바로 현금으로 납부하는 납세자들과요 똑같이 100만원을 납부했는데 신용카드 결제한 사람은 수수료 빼니 국가에 세금이 99만원 들어오게 됩니다. 현금 납부하는 사람이 억울하지 않겠어요? 그래서 수수료는 개인 부담입니다. 비율은 신용카드는 0.8%고 체크카드는 0.5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신용카드 포인트 납부 방법
카드로 택스에서 납부하는 경우
홈택스 또는 카드로 택스 접속 -> 납부 화면에서 결제 수단을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선택 -> 포인트 사용 여부 여 체크
은행에서 납부하는 경우
고지서에 기재된 전자 납부 번호로 납부하게 됩니다. 이때 결제 방법 선택화 면에서 카드 포인트 사용 여부를 여로 체크하면 됩니다.
이렇게 두 가지 방식으로 결제하면 신용카드 포인트로 세금 납부하게 되고 부족한 금액은 차액 결제되게 됩니다.
신용카드 포인트 납부 단점
몇 가지 단점이 존재하는데요 우선 한번 결제한 건 취소 및 할부 개월 수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한번 결제하실 때 할부를 얼마나 할 건지 신용카드로 하는 게 맞는지 잘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물론 수정하는 방법이 존재하긴 합니다. 신용카드 회사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단 할부 개월 수 변경만 가능합니다.
또한 전자 납부 번호를 모르면 사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전자 납부 번호는 고지서에 기재되어있습니다. 지방세 자동 납부 시에는 무이자 할부가 적용이 안 됩니다.
신용카드 세금 납부 팁
신용카드로 세금 납부하면 수수료까지 있는데 굳이 해야할까요?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근데 전 이왕이면 하시는 게 좋다고 추천해 드립니다. 왜냐하면 현금 운용하기가 좋습니다. 한 사장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각종 세금을 발생하는 단위로 할부한다
한 달 단위 세금은 할부 없다 일시불로 결제한다는 예로 든다면 원천세나 4 대보험들이다 매달 발생하는 돈이라 카드값에 포함하면 전체를 파악하기 좋다
3개월 단위는 3개월 할부한다 예로 든다면 부가세이다. 부가세 같은 경우 예정 고지와 확정신고 때 각각 납부하게 된다는 일시에 납부해버리면 현금을 운용하는데 쉽지 않다. 부가세로 납부한 달의 통장을 보면 마이너스가 항상이라 자금 운용하는데 헷갈렸다
6개월 단위는 6개월 할부한다 예는 종합소득세다 예정 고지와 확정신고가 있어서 이것도 카드값에 포함해버리면 자금 운용하기 좋다
저도 이렇게 관리를 하니까 상당히 편하더군요 우선 자금이 확 빠져나가지 않아서 좋습니다. 일관성 있는 자금 운영이 가능합니다. 또한 카드 종류에 따라서 세금도 포인트 적립을 해주거나 실적에 포함해주기도 합니다. 0.8% 수수료 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