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자 세금을 걱정하고 계시지요? 지금 시기에 이렇게 검색하시는 것만 봐도 단순 궁금을 넘어서 걱정하셔서 검색하시는 것 같습니다. 걱정하실 필요 없게 계산 방법과 줄이는 법 다 알려드리겠습니다. 잘 따라오세요
이런 어려움이 있거나 도움될 친구나 가족을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공유해주세요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확실히 도움될겁니다
개인사업자 소득세율
1400만원 이하인 경우 6%이며, 누진 공제는 없습니다 .
5000만원 이하 15%이며 누진 공제는 108만원입니다.
8800만원 이하 24%이며 누진 공제는 522만원입니다.
1억 5000만원 이하 35% 누진 공제는 1490만원입니다.
3억원 이하 38%이며 누진 공제는 1940만원입니다.
5억원 이하 35%이며 누진 공제는 2540만원입니다.
10억원 이하 42%이며 누진 공제는 3540만원입니다.
10억원 초과 45%이며 누진 공제는 6540만원입니다.
혹시 어렵거나 궁금하신게 있으신분은 익명으로 문의주시면됩니다.
질문/요청게시판을 재능기부로 운영중입니다.
개인사업자 1억 세금
위에 개인사업자 세율을 보면 1억원일떄 세금이 과연 얼마일까요? 1억원이면 35% 세율 적용되며 누진 공제는 1490만원입니다. 즉 1억원 *35%= 3500만원 – 1490만원 = 2010만원이 산출세액이 됩니다.
물론 저금액으로 세금을 다 내야 하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위에도 적었지만 이제 저만큼의 세금이 계산되었다는 얘기입니다. 저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를 빼게 됩니다. 세액공제는 세액을 빼준다는 것입니다. 세액공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세금 절세
개인사업자가 세금을 절세하기 위해서는 위에 본 것처럼 세액공제를 최대한 많이 받으면 좋습니다. 또한 아예 소득 자체를 줄일 수 있는 소득공제를 하시는 게 더욱 좋긴 합니다. 왜냐하면 소득공제는 한계가 거의 없습니다. 즉 몇 개 항목은 있지만 대부분 한계가 없는 게 많습니다. 반대로 세액공제의 경우 대부분이 한계가 있습니다.
소득공제는 소득 자체를 줄여주는겁니다. 인적공제나 국민연금 등으로 소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더욱 중요한 게 한 가지 있습니다. 제가 일을 하다 보면 많이 들 놓치시는 게 있습니다. 세금이 많다고 얘기를 나누어 보면 싸게 해준다고 세금계산서나 현금영수증 등 적격증빙을 받지 않은 경우입니다. 물론 그때 당시는 그게 싸다고 생각이 되어 그렇게 진행하셨습니다. 하지만 막상 세금을 낼 때 생각해보면 그렇게 싸게 구매한 것도 아니게 됩니다. 물론 이런 걸 아예 반영 못 하지 않습니다. 몇 가지 내용이 있다면 반영할 수 있지만 별도로 가산세를 납부해야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1인 개인사업자 세금
1인 개인사업자 세금 같은 경우 다른 개인사업자보다 더 많은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사실 세금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득이 줄어야 합니다. 즉 매출이 떨어지거나 매입이 늘어야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매출을 조절하거나 매입 자체를 조절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특히 인건비의 경우 큰 비용이 되는데 1인 개인사업자의 경우 인건비가 없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세금이 많이 나오는 상황이 생깁니다. 물론 직원이 있을 필요가 없어서 안 했을 겁니다. 하지만 그것 때문에 반대로 세금으로 납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 차를 구매한다든가 하십니다
개인사업자 소득 없을 때 도 신고해야 하나?
개인사업자 세금은 소득이 있건 없건 신고를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내가 소득이 있는지 없는지 국세청에서는 알 수가 없습니다. 아예 개인사업자도 없는 개인이라면 소득이 없는 경우 신고 안 해도 됩니다. 하지만 개인사업자는 손실인지 이익인지는 신고해야 국세청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고를 해야 한다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물론 지금 신고 안 하고 나중에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가산세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하실 겁니다 소득이 없는데 가산세가 있다니? 대부분 없을 겁니다 하지만 예외적인 상황이 되면 가산세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가산세도 가산세지만 소득이 없음을 넘어 손실되었다면 더욱이 신고는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결손금 공제라는걸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결론
개인사업자는 소득이 있건 없건 신고는 해야 한다 특히 1인 사업자의 경우 많은 세금 낼 가능성이 높으니 잘 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