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정산 공제를 최대한 많이 받는 3가지 방법

연말 정산 공제를 최대한 많이 받고 싶을 겁니다. 그래야 연말 정산 환급기준이 돼서 환급액이 커질 테니까요. 그래서 흔히 13번째 월급이라는 표현하기도 하지요 오늘은 연말 정산 공제항목에 대해서 알려드릴 테니 잘 확인하시고 연말 정산 공제준비 잘하세요

소득공제

소득공제란 소득을 줄여준다는 의미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세금 부과되는 소득이 있잖아요? 소득 * 세율로 우리나라는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해서는 세율이 적거나 소득이 적어야겠지요? 그래서 소득공제 즉 소득을 줄여주면 세금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주는 이유는 소득이 발생하려면 별도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을 인정해주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아이를 키운다면 아이에게는 병원비 우윳값 등 비용이 들지 않겠어요? 소득을 버는 이유가 가족 때문인데 아이에게 지출되는 금액을 세금으로 납부하면 불합리하지요  예로는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신용카드 공제가 속하게 됩니다.

연말정산 세율

연말정산의 세율은 초과 누진세로 이루어 져 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하나의 예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예 5000만원 소득

1200만원 이하 6%, 12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 15%

1200만원*6%+(5000만원 – 1200만원)*15% =6420000원

왜 단순하게 5000만원이면 15% 적용하면 되는데 저렇게 계산할까요? 5000만원 벌은 사람도 0원에서부터 5000만원을 벌었을 겁니다. 소득이 1200만원인 사람도 0원에서부터 1200만원까지 벌었을 겁니다. 똑같이 0원에서 출발하여 한 사람은 5천만원 한 사람은 1200만원 벌었다는 거죠 근데 5000만원 반사람도 1200만원까지는 1200만원 벌은 사람과 같은 세금을 내야 하지 않겠어요? 돈을 더 번다고 세금을 더 내는 건 좋은데 적어도 공평은 해야 하지 않겠어요? 그래서 저렇게 구분해서 계산을 하는 겁니다

세액공제

연말정산 세율을 적용해서 우리는 세금을 계산을 했을 겁니다. 근데 이대로 납부하자니 세금이 그래도 많습니다. 애들 교육비며, 기부한 것도 있고 꽤 썼지요 이런 금액은 살아가다 보면 쓸 수밖에 없는 돈 아니겠어요? 그래서 국가에서도 계산된 세금이 있지만 이 세금에서 몇 가지 항목은 더 빼주겠다고 하는 게 연말 정산 공제 중 하나인 세액공제입니다. 바로 전에 이유처럼 필요한 것도 있지만 국가 정책적으로 혜택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월세 세액공제입니다. 국가 정책이 월세 소득에 대해서도 세금을 걷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월세 소득은 신고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세금을 못 걷은 게 지난 수십년입니다. 그래서 생각을 하는 게 근로자에게 혜택을 주면 근로자는 혜택을 받으려고 신고합니다. 근로자가 신고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월세에 대한 명세가 국가에 확인되게 됩니다. 정책적으로 혜택을 주는 건 조금만 주고 세금을 걷을 때 많이 받을수있다면? 국가는 손해 보는 장사 안 합니다.

세액감면

세액공제와 더불어 세금을 줄여주는 연말 정산 공제 명세 중 하나입니다. 하는 이유는 세액공제랑 별 차이 없습니다. 다만 세액감면의 경우 조건이 해당이 되면 그제야 감면을 해줍니다. 감면은 말 그대로 국가에서 세금을 줄여주는 거라 손해 보지만 다른 목적을 위해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90% 감면 정책이 있습니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들에게 소득세를 90% 감면 하여 중소기업 취업에 힘을 보태겠다는 겁니다.

혹시 어렵거나 궁금하신게 있으신분은 익명으로 문의주시면됩니다.
질문/요청게시판을 재능기부로 운영중입니다.

연말정산 환급 기준

연말 정산 공제 항목을 최대한 많이 반영하면 환급기준에 충족하게 됩니다. 정확히 딱 얼마가 환급된다는 기준은 없습니다. 다만 환급은 그냥 되지 않습니다. 국가에서 지원금으로 주는 건 아니니까요! 우리가 급여를 받으면서 세금을 납부했습니다. 정확히는 내가 납부 않고 회사 사장님이 하셨지요 우리 이름으로요 근데 내 소득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우선 임의의 금액을 납부합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나서 매년 1월~2월에 세금을 정산합니다. 그럼 이제 내 세금이 얼마인지 나오겠지요? 그럼 두 개를 비교해봅니다. 내가 납부한 것과 내 세금액을요 비교해서 납부한 게 크면 환급이 되고 납부한 게 작으면 추가 납부하게 됩니다

결론 (요약)

연말 정산 공제 명세를 최대한 반영하면 환급액을 키울 수 있다

Leave a Comment